전체보기(181)
-
톰캣exe파일로 설치uninstall.exe 오류해결방법
##개인생각## 해당오류는 그냥 uninstall.exe를 실행했을때 발생했음. 프로그램 추가/제거 에서 삭제를 진행할경우 ServiceName에 설치할때 입력한 서비스이름이 기본적으로 입력되어있어서 제대로삭제가 진행됨 윈도우 설치형의경우 프로그램 추가제거를 이용하자!! Uninstall.exe를 실행했을때 no service name specified to uninstall 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면서 서비스이름을 모르는경우가 존재함.. 그럴경우 해당 톰캣설치폴더로 이동한뒤 아래와같이 CMD창으로 해당서비스 이름을 옵션값을준채로 실행시켜야함. Uninstall program tomcat Uninstall.exe double-click in the installation path. Error: No ser..
2021.09.14 -
톰캣 기본정보 관련 정리
톰캣은 보통 설치형,비설치형 2가지로 분류된다. 설치,비설치 모두 해당 시작,종료,서비스등록 등을 위한 파일들이 기본적으로 내장되어있는데 ex) startup.sh , startup.bat , shutdown.sh ,shutdown.bat 로그확인용--> catalina.sh, catalina.bat 그리고 service등록을 위한 service.bat 등이 존재함 서비스에 등록해서 사용하는경우에는 톰캣에서 제공하는 GUI를 사용한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사용하는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이 생김. Start stop등을 명령어가 아닌 프로그램으로 사용할수있도록 bin폴더 내부에 exe파일이 존재함. 톰캣8버전 기준으로는 해당 이름이 tomcat8.exe, tomcat8w.exe인데 보통w가 붙은게 해당 GUI..
2021.09.14 -
톰캣 윈도우 서비스로 등록해서 사용하던중 발생한 에
운영서버에서 사용하는 톰캣은 서비스에 등록해서 사용하는 형태였는데 해당 서비스가 종료되던중 그대로 멈춰버리는 일이 발생했음 위의 경우는 정상적으로 실행될때의 모습인데 해당오류가 발생했을때는 start,stop버튼 비활성화 상태라 누를수도없는 형태였음. ##기타 고려사항## 보통 이클립스에서 톰캣서버를 띄울때도 가끔 실행되다가 멈추는 경우가 존재함. 해당 port는 그대로 사용하는채로 멈춰버림. Ex) 8080관리자 포트를 사용하던 톰캣이 시작중 오류발생. 재시작눌렀으나 비정상적인 종료 후 포트는 그대로 사용중인 상태로 남는경우가 많음. ##해결방법## 1번방법 보통 그럴경우 사용하는 port를 닫는경우가 해결이빠르다. 위의 경우에도 window에서 listening port를 확인하는 명령어 Netsta..
2021.09.14 -
개발서버에 JDK버전 여러개 관리하던방법
개발서버에 was1번부터 was8번까지 여러개의 톰캣을 아파치에 연결해서 사용중이였는데 각 톰캣마다 JDK를 다른버전으로 임의로 지정해서 사용중인걸 알게됬음. 아래 방법처럼 리눅스에 java_home을 윈도우에서 하듯이 환경변수로 잡아서 하는방법이 있고, 사용중인 톰캣에서 지정해서 하는 방법이 존재하고!(catalina.sh 직접수정하여 거기에서 home경로 지정) 위 2가지를 생각했는데 JDK버전이 안맞았다. 1. source /etc/profile 해당부분에 설정되어있는 java_home 의 경우 리눅스 환경에 설정되어있는 환경변수로써의 jdk버전. 톰캣은 다르게 설정하여 사용할수있음. 현재 우리 개발서버 기준! /data/tools/was 해당위치에 tomcat 8.5, 9.0 2개의 버전이 존재함..
2021.09.14 -
CentOs Hosts파일 수정!
##참조 가져온글## ## 하기전 주의사항. Hosts의경우 도메인서버의 파일이 아니라 로컬환경내에서 해당주소로 왔을때 mapping부분을 건드는 것임. 도메인서버에서 제공하는 Linux/RHEL/CentOS [설정] RHEL/CentOS 7.x 호스트명 확인과 변경 2018. 4. 5. 02:01 호스트명을 확인하고 변경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과 /etc/hostname 파일을 직접 조회 및 수정하는 방법. 1. 호스트명 확인 1-1. hostname 명령 사용 1 2 [root@localhost ~]# hostname localhost.localdomain cs 1-2. /etc/hostname 파일 조회 1 2 [root@localhost ~]# cat /etc/..
2021.09.13 -
아파치 설정에 대해 정리!
## 첫 회사를 와서 개발서버라는걸 알게되었고, 그에따른 설정을 변경 할 일은 거의 없지만 알아봐야해서 정리해둔것이다. # 기본적으로 아파치 서버에 접속하면 보여지는 html파일의 위치!(그런데 우리회사는 해당부분에 html파일이 없음 비어있는폴더) DocumentRoot "/var/www/html" # 위 디렉토리의 index.html 파일을 실행한다는 설정부분 DirectoryIndex index.html # 로그파일 경로 ErrorLog "logs/error_log" 아파치를 기준으로 아파치 +톰캣 여러 개 등등 다수의 서버를 한번에 운영할수있는경우가 많음 그럴땐 conf.d 폴더내부에 설정되어있는 다른파일들을 읽어와서 설정해줌. # 추가 설정 파일 로드. IncludeOptional conf.d/..
2021.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