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181)
-
스크립트로 ssh접근 후 파일변경
메이븐 빌드가 안되서 자동화에 실패한뒤 임시로 반자동화라도 해보려고 젠킨스 build처리 이후에 보통 ssh로 접근하여 해당파일들을 build성공 후 반영하는데...다 맞고, 성공했다는 가정하에 스크립트로 build이전에 바로 ssh로 접근하여 스크립트로 해당파일들을 관리하는 스크립트를 짰었다 #관리자 cp -rf /var/lib/jenkins/workspace/snip/SNIP_LINK/java/egovframework/itgcms /var/lib/jenkins/workspace/snip/SNIP_MNGR/src/main/java/egovframework chmod -R 777 /var/lib/jenkins/workspace/snip/SNIP_MNGR/src/main/java/egovframework/..
2021.09.15 -
Maven Build관련 오류 및 log보는법 정리
##기존 유지보수 하던 프로젝트를 젠킨스에서 Maven Build를 수행하고 CI/CD의 자동화를 해보려고 했으나.... 버전이나 기타 관리가 잘되는 편이 아니였어서... 하나하나 삽질로 다 수정해봤던 이력들이다## ##오류1번 “package does not exist” 또는 “cannot find symbol”## 기존에 svn에 존재하는 파일들 젠킨스에서 clean install or clean package 를 하려고하는데 컴파일 하는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함.. mvn clean install --log-file 파일명.txt 기존 젠킨스에서 확인가능한 로그가 이부분 - 디버깅 로그 파일 생성 mvn clean install -X > 파일명.txt 더 상세한 처리결과를 볼수있음 로그파일을 남겨서 봤..
2021.09.15 -
젠킨스 Build 못해도 리눅스 서버에 적용시키기..테스트
##아래는 여러가지 이유로 Maven 빌드에 실패하고..class파일과 jsp파일 등 자주 교체되는 부분들만이라도 자동화 반영해보고자 테스트했던 부분들이다. 기본적은 골자는 윈도우에서 심볼릭링크(mklink)를 통해 이클립스에서 생성하는 class파일들을 젠킨스의 임시저장소로 연결해두고 해당파일들을 빌드했다는 가정하에 SSH로 리눅스서버로 옮겨서 반영테스트를 한 경우이다. ## C:\Windows\System32\config\systemprofile\AppData\Local\Jenkins\.jenkins\workspace\classSnip 현재 테스트중인 로컬 젠킨스 경로 Maven build가 정상적으로 작동안해서 일단 로컬환경에서 내것만 가능한지 테스트할 예정 절대경로를 인식못해서 mklink로 심볼..
2021.09.15 -
SVN선택지 추가방법
git의 경우 최초 설치시에 선택지가 자동으로 나와있지만... SVN의 경우 따로 플러그인을 설치해야 했었다... 개발서버 자동화 시켜보려고 CI/CD테스트겸 해서 설치했는데 SVN을 설정하는게 없어서 따로 찾아봤다. Jenkins Project 생성 화면에서 SVN을 사용 할 경우 아래와 같이 소스 코드 관리에 SVN이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SVN 플러그인 설치 화면 이동 1. 메인 화면 Jenkins 관리 -> 플러그인 관리 설치 가능 탭 목록에서 Subsersion 체크 "Download now and install atfer restart" 버튼 선택 다운로드 완료 후 "설치가 끝나고 실행중인 작업이 없으면 Jenkins 재시작." 선택 Jenkins 재시작중 Jenkins 재시작 완료 후 Pr..
2021.09.15 -
젠킨스 설치방법 및 기타 주의사항들
##기타사항1번### 이전회사의 경우 JDK 1.7, 1.8 2개를 사용중이였는데 아무생각없이 1.7을 기준으로 JDK가 설치된 상태로 젠킨스를 설치하고 접근하였을경우.. 모든 설치절차가 정상이더라도 JDK버전때문에 제대로 실행이 안된다..!!! 젠킨스 openjdk1.7에서 안돌아감!!!!!!!!!!!!!!! 1.8에서 가능!! ##기타사항 2번## 젠킨스 윈도우 주의사항 Window에서 msi파일로 설치시 관리자권한으로 실행해야 생성된 파일,폴더들에게 정상적으로 접근이 가능함!!! ##관리자권한 실행하는법## Cmd창을 관리자권한으로 실행 후 msi파일경로로 이동한뒤 직접 실행! 그리고 최초에 port를 6666으로 줬는데 해당포트를 인식못함. 8888로변경하니 가능했음. 이전에는 7777로도 가능했..
2021.09.15 -
도커 로그확인방법 및 내부 파일 복사 붙여넣기
##DB이관전에 VM에 도커를 설치하여 Mysql or MariaDB의 설정파일을 바꿔보던 도중 컨테이너가 run이 안되면서 아무런 메세지를 찾을수가 없는 사태가 발생했다..로그파일을 어떻게 보는지 하다가 찾아보게 된 로그확인방법..! 내가바꾼 my.cnf파일에 설정값이 올바르지 않아서 해당 파일을 바꿔줘야했다..(설정이 올바르지 않으니 run조차 안됬던것!) ㅠㅠㅠ## 먼저, 도커의 컨테이너에 대한 정보는 대부분 /var/lib/docker/containers/[Container-ID] directory 내에 저장된다. 당연히 로그 파일도 /var/lib/docker/containers/[Container-ID]/[Container-ID]-json.log란 포맷으로 해당 컨테이너 directory 밑에..
2021.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