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노트
CentOS JDK tar.gz 파일 받아서 환경설정하기.
뭘하지
2023. 12. 4. 15:09
반응형
최근에는 새로운 회사에서 신규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일을 받아서 수행하고 있다.
서버 환경 구성 및 Vue3 버전을 기준으로 프론트 및 Spring boot(API) 서버를 기초로한 환경을 세팅하고 있다.
겸사겸사 다른 서버들도 같이 관리하고 있어서 별도로 JDK하나를 설치하고 구성하는부분들에 대해서 정리하는 겸 글을 작성하기로 했다.
Java8 버전을 기준으로 한다고 했을때 jdk-8u371-linux-x64.tar.gz 를 기준으로 한다.
파일의 경우 알아서 다운로드 받아서 sftp로 넣거나 wget으로 해당파일을 받아와서 진행하면 될듯 하다.
1. 파일 압축을 해제한다.
tar -xzf jdk-8u371-linux-x64.tar.gz
2. 압축해제 후 jdk를 원하는 경로에 옮긴다.
mv jdk1.8.0_371 /usr/local/
3. 해당 경로로 이동 후 java 링크파일을 생성한다.
cd /usr/local
ln -s jdk1.8.0_371 /usr/local/java
4. /etc/profile의 맨 마지막에 환경변수를 잡아준다.
export JAVA_HOME=/usr/local/java
export PATH=$PATH:$JAVA_HOME/bin
export CLASSPATH=.:$JAVA_HOME/jre/lib:$JAVA_HOME/lib:$JAVA_HOME/lib/tools.jar
5. /etc/profile을 재실행 시킨다.
source /etc/profile
6. 버전확인
javac -version
반응형